아토피 치료 주사인 듀피젠트(Dupixent)는 효과가 좋지만 가격이 부담스러운 약입니다.
저희아이는 듀피젠트를 시작하면서 산정특례를 신청했어요.
이번 글에서는 산전특례가 무엇인지, 신청 방법과 준비서류, 실제 혜택 후기를 정리해봅니다.
산정특례란?
산정특례는 중증 질환 환자의 치료비 부담을 줄여주는 건강보험 혜택입니다.
아토피 환자도 2023년부터 중증일 경우 듀피젠트 치료에 산정특례를 적용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뉴스에서만 듣던 무시 무시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평가를 받아야 하는 절차가 있습니다. (어쩌면 당연한거 같기도 하구요..)
듀피젠트 산정특례 기준
- 대상: 만 6개월이상 소아 부터 성인
- 진단 기준: 중증 아토피 피부염 (EASI 점수 23점 이상 또는 SCORAD 50점 이상)
- 치료 조건: 기존 스테로이드 치료 + 면역 치료제로 호전되지 않은 경우/ 1년 이상의 중증 아토피 치료를 시행한 경우
- 전문의 진단서 필요 (피부과 전문의)
산정특례 신청 방법
- 피부과 전문의 진료 후 대상 여부 판단
- EASI 점수 등 검사 진행
- 병원에서 산정특례 신청서 작성
- 건강보험공단에 등록 (보통 병원에서 대행)
- 등록 완료 후 본인부담금 감소
준비서류
- 전문의 진단서
- EASI 점수 등 검사 결과지
- 산전특례 신청서 (병원 제공)
- 아이의 경우 보호자 신분증
우리 가족의 산정특례 경험
첫째 딸은 듀피젠트를 맞을때 산정특례를 신청해서 비용 부담을 줄였습니다.
- 기존 1회 비용: 약 67만원
- 산전특례 후: 약 6만7천원+진료비 (병원마다 조금씩 차이 있음)
저희 아이는 24개월 처음 알러지 전문 의사가 있으신 소아과에 다니기 시작했습니다. 피검사도 시행을 했지만 수치가 어마어마하게 적게 나왔었구요... 이번에 너무 중증으로 아토피가 발현되다 보니 소아과 선생님께서 대학병원에 의뢰서를 써주시면서 듀피젠트를 고민해 보라 말씀 하셨습니다... 하지만 산전 특례는 받기 쥡지 않다는 말씀을 남기셨습니다. 하지만 저희 아이는 감사하게 산전특례를 받아 듀피젠트 주사약을 투약 받았습니다. 아토피 치료는 장기전이라 경제적인 부분 도 중요 하다고 생각합니다.
산전특례 덕분에 치료를 계속 이어갈 수 있어서 정말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밤에도 잠을 재대로 못자는 아이를 보면서 산전 특례를 받지 못하더라도 하자!! 라는 생각으로 대학병원에 가긴 했었습니다.
정리하며
듀피젠트 산전특례는 중증 아토피 환자라면 꼭 알아두어야 할 제도입니다.
우리 가족처럼 치료비 때문에 고민하고 있다면, 산전특례를 적극 활용해 보세요.
다음에도 두 딸의 제주일기에서 듀피젠트 치료과정을 기록해 나가겠습니다.
*사진 출처 :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B%93%80%ED%94%BC%EC%A0%A0%ED%8A%B8
아토피 치료제 듀피젠트(Dupixent) 치료 경험기 시리즈
- 첫째 딸의 아토피 치료제 듀피젠트(Dupixent) 주사 치료 경험기 1 – 효과와 부작용 솔직후기
- 첫째 딸의 아토피 치료제 듀피젠트(Dupixent) 주사 치료 경험기 2 – 산정특례 신청과 실제 혜택 후기
- 첫째 딸의 아토피 치료제 듀피젠트(Dupixent) 주사 치료 경험기 3 – 알러지 전문의 상담부터 첫 투약까지 한 달의 기록
- 첫째 딸의 아토피 치료제 듀피젠트(Dupixent) 주사 치료 경험기 4 – 주번째 주사 접종 하던날의 기록
각 글을 차례로 읽으면 듀피젠트(Dupixent)치료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듀피젠트 #듀피젠트산전특례 #아토피치료 #산정특례 #아토피주사 #중증아토피 #두딸의제주일기 #듀피젠트비용
0 댓글